Ubuntu 24.04 Wake-on-LAN(WOL) 설정 방법

Wake-on-LAN(WOL)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장치에서 특정한 신호(매직 패킷)를 보내 컴퓨터를 원격으로 부팅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이 기능은 서버나 PC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전원을 켜는 작업에 매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서버나 집에 있는 개인 컴퓨터를 원격으로 켜야 할 경우, 굳이 현장에 갈 필요 없이 네트워크를 통해 간단히 시스템을 부팅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Ubuntu 24.04 환경에서 Wake-on-LAN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필수 소프트웨어 설치

ethtool은 리눅스 기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의 설정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명령어 도구입니다. 여기서는 Wake-on-LAN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할 것입니다.

sudo apt install ethtool

Ubuntu에서 올바른 네트워크 어댑터 찾기

ethtool을 사용하여 Wake-on-LAN을 활성화하기 전에 네트워크 어댑터의 이름을 알아야 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통해 모든 네트워크 어댑터를 확인합니다.

ip a

사용하는 Ubuntu 버전에 따라 어댑터는 eth 또는 enp로 시작합니다. 또한 어떤 네트워크 장치에 IP 주소가 할당되었는지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이더넷 장치 이름이 enp1s0인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다음 단계에서 사용할 값입니다.

image 40

Wake-on-LAN 지원 확인

먼저, 시스템이 Wake-on-LAN을 지원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네트워크 어댑터가 WOL을 지원하는지 확인합니다.

sudo ethtool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어댑터 WOL 지원 여부 확인
네트워크 어댑터 WOL 지원 여부 확인

출력 결과에서 Supports Wake-ong로 설정되어 있으면, WOL 기능이 지원된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Wake-on: d로 설정되어 있다면, WOL이 비활성화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Wake-on-LAN 활성화

WOL을 활성화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WOL 기능을 켭니다.

sudo ethtool -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wol g
네트워크 어댑터 WOL 활성화
네트워크 어댑터 WOL 활성화

이 명령어는 네트워크 어댑터에 대해 WOL을 활성화합니다. 그러나, 이 설정은 재부팅 후에도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설정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재부팅 후에도 WOL 활성화 유지하기

재부팅 후에도 WOL 설정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서비스 파일을 만들어야 합니다. 아래 명령을 실행하여 서비스 파일을 작성합니다.

sudo vi /lib/systemd/system/wakeonlan.service

파일을 아래와 같이 내용을 입력합니다.

[Unit]
Description=Enable Wake On Lan

[Service]
Type=oneshot
ExecStart=/usr/sbin/ethtool -s <DEVICENAME> wol g

[Install]
WantedBy=basic.target

Type을 oneshot으로 설정하면 서비스 관리자가 시작 시 이 서비스를 한 번만 실행하고 계속해서 명령을 실행하려고 시도하지 않도록 합니다.

WOL 활성화 서비스 생성
WOL 활성화 서비스 생성

이제 새로운 서비스 파일을 만들었으므로 시스템이 시작될 때 해당 서비스 파일을 실행할 수 있도록 활성화해야 합니다. 다음 명령을 통해 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sudo systemctl enable wakeonlan.service

추가로 외부에서 공유기 WOL 기능을 이용하여 원격 부팅을 하는 내용은 아래 링크의 글을 참조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POST] IPTIME 공유기를 이용한 컴퓨터 원격 부팅(WOL)

결론

Ubuntu 24.04에서 Wake-on-LAN 기능을 설정하고 원격으로 시스템을 켤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WOL은 서버 관리나 원격 작업에서 매우 유용한 기능으로, 올바르게 설정되면 네트워크 상에서 언제든지 시스템을 부팅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더욱 효율적인 서버 관리를 경험하시길 바랍니다.

관련 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