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마케팅 광고용어 총정리

마케터는 광고대행사, 미디어렙사, 그리고 다양한 매체 담당자들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업무를 진행합니다. 외부 미팅에서 상대방이 사용하는 용어를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최근 모바일 광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새로운 용어와 개념들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들 용어를 알고 있으면 미팅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마케터가 알아야 할 주요 마케팅 및 광고 용어를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CD (Creative Director)

대행사에서 크리에이티브 전체의 콘셉트와 최종 제작물을 총괄합니다.

AD (Art Director)

대행사에서 비주얼 크리에이티브를 총괄하는 역할을 합니다.

AE (Account Executive)

광고를 총 책임지는 대행사의 기획자로, 광고주와 대행사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전담합니다.

대행사 (Agency)

광고주를 대신해 광고를 집행하고, 크리에이티브 제작 및 매체 구매를 담당합니다. 종합광고 대행사, 디지털 대행사 등으로 구분됩니다.

미디어렙 (Media Representative)

광고주의 광고를 매체에 판매하는 회사로, 광고 분석과 매체 자료를 제공합니다.

매체 (Media)

광고가 소비자에게 노출되는 모든 공간으로, TV, 라디오, 신문, 잡지, 뉴미디어 등이 포함됩니다.

온드 미디어 (Owned Media)

기업이 직접 소유하고 운영하는 미디어로, 웹사이트, 블로그, SNS 등이 해당됩니다.

페이드 미디어 (Paid Media)

비용을 지불하여 광고를 구매하는 방식으로, 매스미디어 광고, 검색광고, 배너 광고 등이 포함됩니다.

디스플레이 광고 (Display Ads / DA)

웹페이지의 배너, 사이드바, 또는 콘텐츠 중간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광고입니다. 이미지, 애니메이션,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됩니다.

검색 광고 (Search Ads / SA)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에 표시되는 광고로,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했을 때 관련 광고가 함께 나타납니다. 텍스트 기반으로, 사용자가 검색하는 키워드와 관련된 광고가 표시되며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검색한 키워드와 관련된 광고를 통해 직접적인 트래픽을 유도하고, 구매나 행동을 촉진합니다.

네이티브 광고 (Native Ads)

콘텐츠와 자연스럽게 통합된 광고로, 사용자가 광고임을 인식하기 어렵습니다. 기사, 블로그 포스트, 추천 콘텐츠 등으로 제공되며, 플랫폼의 디자인과 유사하게 보이도록 설계되며 사용자에게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광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높은 클릭율과 참여율을 유도합니다.

캠페인 (Campaign)

광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정 기간 계획적, 지속적, 집중적으로 행하는 모든 광고 활동을 의미합니다.

소재 (Creative)

광고 소재는 웹페이지, 앱 또는 기타 디지털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게재되는 광고입니다. 광고 소재는 사용자에게 게재되는 이미지, 오디오, 동영상 및 기타 형식이 될 수 있습니다.

미디에이션 (Mediation)

다양한 애드 네트워크, 직영업 광고 등의 광고주와 매체사를 연결하고 관리하는 매개 도구입니다. 미디에이션 플랫폼을 통해 메체사는 애드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양한 광고주와 거래할 수 있고 인벤토리를 효율적으로 운영해 적절한 앱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미디에이션이 운영되는 방식은 크게 워터폴(Waterfall) 방식와 헤더 비딩(Header bidding) 방식이 있습니다. 

미디어 믹스 (Media Mix)

광고 계획에서 광고 메시지가 구매자에게 가장 효율이 높은 매체로 도달할 수 있도록 광고편성을 결정하는 일입니다.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

소비자들이 자발적으로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하게 하여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을 내도록 하는 마케팅 기법입니다.

인벤토리 (Inventory)

광고가 게재되는 공간입니다. 다른 말로 ‘광고 지면(Ad Space)’이라고도 합니다. 

STP (Segmentation / Targeting / Positioning)

Segmentation(시장 세분화), Targeting(표적시장 설정), Positioning(포지셔닝)의 대표적인 시장 분석 기법입니다.

TPO (Time / Place / Occation)

Time(시간), Place(장소), Occasion(상황)의 약자. 시간과 장소, 상황에 맞는 다양한 방식의 생활양식에 따라서 마케팅 수단을 달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DAU(Daily Active User)

일반적으로 일간 활동 사용자 수, 즉 하루 동안의 순방문자 수(UV)를 의미합니다. 광고주마다 DAU를 산정하는 정의가 다를 수 있습니다. 버즈빌은 ‘광고 할당 요청’을 기준으로 DAU를 카운트하되, 보다 유의미한 수치 산출을 위해 ‘광고 노출의 발생 여부’를 기준으로 삼기도 합니다.

MAU(Monthly Active User)

일반적으로는 월간 활동 사용자 수, 즉 1개월 동안의 순방문자 수(UV)를 의미하며 버즈빌은 월간 광고 할당 요청한 사용자를 집계하는 지표로 사용합니다.

ROAS (Return On Advertising Spend)

광고 투자비에 대한 매출 비율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광고를 집행할 때 투입되는 비용에 대해 얼마만큼의 이익을 얻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ROAS = 광고를 통해 발생한 총 매출액 / 총 광고비 X 100%’라는 등식이 성립합니다.

그로스해킹(Growth Hacking)

성장(Growth)을 위한 모든 수단(Hacking)이란 뜻입니다. 데이터 기반으로 빠른 가설, 검증, 개선의 과정을 반복하며 꾸준히 성장을 분석하고 추구하는 방법론입니다. 

후킹 (Hooking)

언어유희적 표현이나 직접 관련이 없는 아이템을 교묘히 엮어 관심을 유도시키는 방법입니다.

체리피커(Cherry Picker)

맛있는 체리만 따먹는 사람들이라는 의미로 보상형 마케팅에서 쓰이는 용어 중 하나이며, 현금이나 포인트와 같은 보상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앱을 설치하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ATL (Above the Line)

TV, 신문, 라디오, 잡지 등의 대중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는 광고입니다.

프로그래매틱 광고 (Programmatic Ads)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타깃에 맞는 맞춤형 광고를 노출하는 방식입니다.

리워드 광고 (Reward AD)

광고를 보고 보상을 받는 형태의 광고로, 주로 모바일 잠금 화면에서 사용됩니다.

바터 (Barter) 광고

광고 비용 없이 제휴를 통해 서로의 광고를 노출하는 형식입니다.

애드서버 (Ad server)

온라인 광고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광고 노출 횟수와 결과를 통합적으로 관리합니다.

애드네트워크 (AD Network)

매체사의 광고 인벤토리를 모아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DSP (Demand Side Platform)

광고주가 최적화된 광고 인벤토리를 구매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입니다.

SSP (Supply Side Platform)

매체사가 인벤토리 세일즈를 쉽게 할 수 있고 광고주와의 거래를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애드익스체인지 (AD Exchange)

광고 인벤토리의 수요와 공급을 조정하여 광고주와 매체를 연결해주는 서비스입니다.

RTB (Real Time Bidding)

실시간 경매를 퉁해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한 광고주가 매체사의 광고 인벤토리를 구매할 수 있는 광고 거래 자동화 시스템입니다.

광고 어뷰징 (Ad Fraud)

부정한 방식으로 광고 트래픽을 조작하여 광고주로부터 부당한 이득을 얻는 행위입니다.

옵트인 (Opt-in)

정보 주체의 개인 정보 수집, 이용, 제공에 대한 동의를 받은 후에 개인 정보를 처리하는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식입니다.

옵트아웃 (Opt-out)

정보 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 정보의 수집 및 이용 후 주체의 거부 의사를 확인하면 개인 정보 활용을 중지하는 개인 정보 보호 처리 방식입니다. 

DMP (Data Management Platform)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고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특정 광고 ID를 기반으로 여러 소스로부터 수집한 사용자 데이터를 쌓아둘 수 있으며, 광고주는 DMP 상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적절한 오디언스를 타겟팅하여 광고할 수 있습니다. 

CDP (Customer Data Platform)

다양한 채널을 통해 수집된 고객 데이터를 통합하여 규범화된 고객 프로파일을 만들고 관리하는 도구입니다. 예를 들어, MMP 데이터, 쿠키 데이터, CRM 결제 데이터 등을 취합하고 사용자를 세분화해 UA(User acquisition) 광고를 집행할 수 있습니다.

MMP(Mobile Measurement Partner)

다양한 매체사에 게재 중인 광고를 다양한 지표 기준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해 광고 성과를 분석하고 부정 행위(Fraud)를 필터링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국내에서는 트래킹 솔루션, 광고 트래커라고도 합니다.

리타게팅 (Retargeting)

구매 잠재 고객을 타겟으로 광고를 재노출하는 방법입니다.

리인게이지먼트 (Re-engagement)

앱을 다운로드한 후 오랜 기간 활동이 없는 유저를 다시 유도하는 캠페인입니다.

어트리뷰션 (Attribution)

사용자가 광고를 보고 구매(전환)하기까지 거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추적 작업입니다. 어트리뷰션을 통해 어느 매체사가 광고 성과에 기여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랜딩 페이지 (Landing Page)

광고 클릭 후 도착하는 페이지로, 웹사이트나 블로그 등이 될 수 있습니다.

딥링크 (Deep Link)

앱을 설치하지 않아도 특정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입니다.

트래킹 (Tracking)

광고 반응을 추적하여 주요 페이지 이동량 등을 확인하는 조사입니다.

포스트백 (Post-Back)

광고 성과 정보를 매체사에 전달하는 것입니다.

코호트 분석 (Cohort Analysis)

동일한 성격을 가진 집단의 행동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퍼널 분석 (Funnel Analysis)

유저의 전환 과정을 단계별로 분석하여 이탈 지점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구좌 상품

노출 수나 클릭 수를 보장하지 않고, 특정 광고 인벤토리의 시간과 공간을 구매하는 방식입니다.

전환 (Conversion)

마케팅, 판매, 웹사이트 분석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기본적으로 ‘전환’은 사용자가 특정 행동을 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도달 (Reach)

광고를 한 번 이상 본 사용자의 수입니다. ‘노출 수’와는 다르게, 광고가 표시되는 횟수가 아닌 사람의 수를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동일한 광고를 3번 보는 경우, 도달은 사용자 A 한 명, 즉 1이며, 반면 노출 수는 3입니다. 

픽셀 (Pixel)

페이스북 마케팅에서는 웹사이트 내에 화소 1개 분량의 매우 작은 트래킹 코드를 심는 것을 의미합니다. 해당 트래킹 코드를 통해 광고를 본 사람들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여 리타겟팅 데이터 베이스로 활용합니다.

ADID(Advertising ID)

구글에서 부여하는 안드로이드 OS 기기의 광고 ID입니다. 안드로이드용 Google Play 서비스 ID라고도 합니다.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

개인에게는 다양성, 이질성이 있다는 전제 조건 하에서 소비자들을 상이한 욕구, 특성, 행동을 가진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입니다.

A/B 테스트

한 소재의 콘텐츠를 바꿔가며 어떤 메시지에 반응이 좋은지 테스트하는 기법입니다.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의 정보 및 활동 패턴 등을 분석하여 경영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솔루션 및 활동입니다.

CTA(Call To Action)

사용자의 광고 참여를 유도하는 문구나 버튼 등의 도구입니다. 예를 들어, ‘자세히보기’, ‘다운로드하기’,’ 좋아요 하러가기’ 등이 있습니다.

노출 (Impression)

광고가 유저들에게 노출된 횟수입니다.

CPM (Cost Per Thousand)

1,000회 노출을 기준으로 광고비를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CPA, CPI, CPE, CPS와 달리 광고주가 전환으로 설정한 사용자 액션이 없어도 광고가 1,000회 노출되면 광고 단가를 책정합니다. ‘CPM = 총 광고 단가 / 총 광고 노출 수 X 1,000’라는 등식이 성립합니다.

GRP (Gross Rating Point)

TV 광고에서 측정하는 종합 시청률입니다.

CPRP (Cost Per Rating Point)

Rating 1을 얻는 데 소요된 비용입니다.

CTR (Click Through Rate)

광고 1개가 노출될 때 클릭되는 횟수의 비율입니다. ‘클릭률’이라고도 합니다. ‘CTR = 광고 클릭 수 / 총 광고 노출 수’라는 등식이 성립하며, 일반적으로 광고를 할 만한 수치는 1∼1.5%입니다.

CVR (Conversion Rate)

광고 클릭 수 대비 전환 횟수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CPC (Cost Per Click)

클릭당 비용 또는 클릭을 기준으로 광고비를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eCPM (Effective Cost Per Thousand)

유효 광고 1천 회 노출당 비용입니다.

CPA(Cost Per Action)

회원가입, 앱 설치 등의 액션(전환)당 광고주가 지급하는 비용, 또는 액션을 기준으로 광고비를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CPI(Cost Per Install)

앱 설치 건수에 따라 광고비를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CPV(Cost Per View)

영상을 한 번 시청할 때마다 광고비가 소진되는 방식입니다.

VTR(View Through Rate)

노출 수 대비 영상 조회 비율입니다. ‘VTR = 영상 조회 수 / 노출 수 X 100%’이라는 등식이 성립합니다.


이 정도의 용어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하고 계신다면, 대행사나 매체사와의 미팅에서 용어의 의미를 몰라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새로운 매체가 계속해서 등장하고, 애드테크의 발전으로 인해 복잡한 용어들이 계속해서 생겨나기 때문입니다. 결국 이러한 용어들은 평소에 틈틈이 학습하고 정리해 두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관련 글 보기